서론 노션(Notion)에서 2022년 8월 11일 부로 새로운 기능을 업데이트 했습니다. 댓글 이모지, 데이터베이스 기본 템플릿 설정, 이미지와 임베드 컨텐츠 정렬 등 다양한 기능 들이 추가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그 중에 제일 눈에 띄었던 업데이트 사항은 숫자와 수식을 진행률 차트로 변경하는 기능이 추가된 것입니다. 과거에는 진행률을 표기하려면 복잡한 수식을 적용해야 됐는데요. 이제는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과거 진행률 표기하는 방법노션(Notion) 진행률(Progress Bar) 구현하기노션(Notion)을 활용하여 습관 트래커를 구현하면 목표를 설정하고 완료한 개수를 파악하할 수 있는데요. 이때 본인이 얼만큼 달성했는지 퍼센트(%) 또는 프로그레스바(Progress Bar)로 표시하면 보다 깔끔..
서론 노션(Notion)에서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캘린더 기능이 있습니다. 캘린더에 친구 생일, 기념일 등을 표시하면서 문득 든 생각은! 이걸 매년 다시 입력해야하는가? 였습니다. 친구의 생일을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면 자동으로 기념일을 계산하는 캘린더 템플릿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생일 계산은 매년 반복되는 이벤트이기 때문에 손쉽게 계산할 수 있었지만, 매월 발생하는 이벤트와 연인과의 100일 단위 이벤트를 계산하는 동작을 추가하면서 점점 복잡해졌습니다. 제가 만든 캘린더 템플릿에 대한 사용법을 포스팅하고 템플릿을 공유합니다. > 기념일 캘린더 템플릿 공유 링크 템플릿 복제하는 방법 기념일 캘린더 템플릿 공유 링크 템플릿 복제하는 방법
서론 노션(Notion)을 접한 뒤에 만들고 싶었던 템플릿 중 하나가 주간 업무 관리 템플릿입니다. 회사에서 주간 단위로 업무를 관리하는데, 메모장이나 엑셀 파일에 정리하는 것도 한계가 있고 깔끔하지 않아서 고민하던 터였습니다. 그러던 중 노션(Notion)을 알게되었고 기능 구현에 어느정도 익숙해진 뒤에 템플릿을 만들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제가 만든 주간 업무 관리 템플릿을 공유합니다. > 주간 업무 관리 템플릿 공유 링크 템플릿 복제하는 방법 주간업무 템플릿 공유 링크 템플릿 복제하는 방법
서론 노션(Notion)을 접하고 나서 제일 먼저 하고 싶었던 것은 바로 가계부 만들기입니다. 요즘은 가계부 어플이 좋아져서 결제 시 바로 어플과 연동되어 자동 입력되는 등 편리한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션(Notion)에서 가계부를 만들고자 한 이유는! 아무래도 직접 입력하지 않으면 씀씀이가 줄어들지 않더라구요. 그리고 직접 손으로 수기 작성을 하는 것은 너무 힘들고, 엑셀 파일을 사용하는 것도 번거롭더라구요. 그래서 처음에는 노션 가계부 템플릿를 열심히 찾았는데, 뭔가 제 입맛에 조금 안맞는 느낌이였습니다. 그래서 직접 만든 노션 가계부 템플릿을 공유합니다! > 가계부 공유 링크 템플릿 복제하는 방법 가계부 공유 링크 템플릿 복제하는 방법
서론 노션(Notion)에서 이번주 일정만 보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주간 일정만 보고 싶거나, 이번주에 돈을 얼마 썼는지 등 이번주에 대한 필터를 걸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 기능으로 이번주인지 확인하는 방법은 없어서 방법을 찾고 있었는데요. 이번주 일정만 알고 싶을 때 필터를 거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1. 이번주 수식 속성 추가💡우선 수식 속성을 추가해줍니다. 이번주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일요일 시작일인 경우와 월요일이 시작일인 경우 2가지가 있습니다.💡위의 수식은 일요일 시작을 기준으로 이번주를 판단하는 수식입니다. prop(”날짜")의 경우 본인이 이번주인지 판단하고 싶은 속성으로 대체하면됩니다.formatDate(prop("날짜"), "w") == formatD..
서론 노션(Notion)의 날짜 포맷의 경우 기본 포맷에는 아직 년월일만 제공합니다. 일기, 가계부, 업무일지 등을 노션(Notion)을 활용해서 작성하다 보면 날짜에 요일이 없으면 직관적이지 않고 가독성이 많이 떨어지는데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식으로 날짜에 요일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1. 날짜에 요일 표시하기💡기본적인 날짜 속성입니다. 날짜 속성에서 제공되는 날짜 포맷에는 요일을 표시하는 포맷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날짜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수식 속성을 추가한 뒤, 다음 수식 코드를 입력하세요. prop(”날짜") 자리에는 본인이 변환하고 싶은 날짜 속성의 이름으로 대체해야합니다.💡오늘 날짜를 알고싶은 경우 prop(”날짜”) 대신 now()로 대체해주세요.formatDate(..
서론노션(Notion)을 활용하여 습관 트래커를 구현하면 목표를 설정하고 완료한 개수를 파악하할 수 있는데요. 이때 본인이 얼만큼 달성했는지 퍼센트(%) 또는 프로그레스바(Progress Bar)로 표시하면 보다 깔끔하고 직관적으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진행률을 직관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퍼센트(%) 구현💡목표와 완료한 결과가 있다면 이를 퍼센트(%) 진행률로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우선 진행률 수식 속성으로 추가합니다. 이때 숫자 형식에서 숫자 → %로 변경해주세요 💡진행률 수식 속성에 다음 값을 입력해주세요. “완료", “목표"는 본인이 앞서 설정한 속성의 이름입니다.floor(prop("완료") / prop("목표") * 100) / 100 💡소수점까지 ..
서론노션(Notion)을 사용하다보면 다크모드로 전환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전력 소모를 줄이고 싶거나 어두운 테마를 좋아하는 분들이 그럴텐데요. 노션에서 다크모드로 쉽게 전환할 수 있는 방법 2가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설정과 멤버 → 내 알림과 설정 → 테마 💡좌측 상단에 있는 설정과 멤버를 클릭합니다 💡내 알림과 설정 → 테마 에서 라이트모드와 다크모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설정 사용의 경우 시스템 설정을 따라서 자동 테마가 적용됩니다. 💡짠! 다크모드로 전환한 모습입니다. 화면 밝기를 최소화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고 싶거나 어두운 테마를 원하는 분들은 다크모드로 사용하세요 2. 단축키로 다크모드 전환WindowMac다크모드 전환Ctrl + Shift + LCmd + Shift + L..
서론 노션(Notion)을 처음 사용할 때는 단순한 기능들로도 충분히 필요한 기능들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응용된 기능들도 사용하고 싶어졌는데요. 응용 기능 중에 데이터베이스 간의 관계형과 롤업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어려운 기능이지만 익숙해지면 정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노션(Notion)의 관계형과 롤업 사용법에 대해서 가계부를 예제로 포스팅하겠습니다. > 완성된 2022년 가계부 링크 완성된 2022년 가계부 링크
서론 노션(Notion)은 개인이 다양하게 활용하기도 하지만 기업이 업무 관리, 브랜딩 사이트 등으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국내 유명 기업 7곳에서 노션(Notion)을 통해 어떻게 브랜딩 사이트를 구현하였는지 포스팅하겠습니다. 1. 왓챠 WATCHA 국내 대표 OTT 중 하나인 왓챠도 노션(Notion)을 활용한 브랜딩 사이트를 구현하였는데요. 각종 기업 서비스 안내와 기업 정보를 깔끔하게 정리한 사례입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접속할 수 있습니다. 왓챠 WATCHA왓챠는 모두의 다름이 인정받고 개인의 취향이 존중받는, 더 다양한 세상을 만드는 회사입니다.https://watcha.team/ 2. 직방 국내 대표 부동산 어플인 직방에서도 노션(Notion)을 활용한 브랜딩 사이트를 구현하였습니다. 직방에 ..
- Total
- Today
- Yesterday
- Tistory C#
- Notion 활용
- 노션 정보
- Tistory
- 노션 사용법
- 노션 활용
- 파이썬 키움증권
- 키움증권 API
- C# 키움증권
- 티스토리
- C# 키움증권 Open API
- Notion 정보
- 티스토리 C#
- Python 키움증권
- C# 증권데이터
- 티스토리 api
- notion
- Python 주식
- 키움증권 Open API
- 키움증권
- Python
- Notion 사용법
- Tistory API
- 파이썬
- 티스토리 API C#
- TistoryAPISharp
- Tistory API C#
- m2 맥북
- 노션
- C# 주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